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
  작성일  2021-10-14    |   최종검토일  2025-02-28    |   연락처  043-719-7341

상세 콘텐츠 영역

목적

¹결핵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의 크기를 예측하고, ²결핵 발생의 추이를 관찰하며, ³결핵의 집단 발생 및 유행을 확인하고, ⁴새로운 문제를 찾아내어 예방・관리 활동 등에 적용하고자 함

내용

신고 대상 : 결핵환자, 결핵의사환자

  • 결핵환자 : 결핵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결핵균 감염이 확인된 사람 ※ M. bovis BCG 감염은 BCG 백신 접종에 의한 것으로서 예방접종 이상반응인 바, 신고대상이 아님
  • 결핵의사(擬似)환자 : 결핵에 부합되는 임상적, 방사선학적 또는 조직학적 소견을 나타내나 세균학적으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

신고 의무자 : 의사, 치과의사, 한의사, 의료기관의 장, 부대장(군의관), 그 밖의 신고 의무자, 감염병병원체 확인기관의 장

  1. ※ [참고] 「결핵예방법」 제8조(의료기관 등의 신고의무), 「감염병예방법」제11조(의사 등의 신고), 제12조(그 밖의 신고의무자)

신고 시기 : 24시간 이내

신고・보고 방법 :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이용 또는 팩스로 제출

  1. - 결핵환자등 신고·보고서 : 신고기관 소재지 관할 보건소로 팩스로 제출 또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(is.kdca.go.kr, 결핵관리)으로 신고
  2. -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 : 신고기관 소재지 관할 보건소로 팩스로 제출 또는 방역통합관리시스템(eid.kdca.go.kr)으로 신고
  3. ※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신고・보고 상세 방법은 「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결핵관리 사용자 이용설명서(의료기관/보건소)」를 참고

신고 서식

  • 결핵환자등 신고・보고서 (「결핵예방법 시행규칙」 별지 제1호서식)
  •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 (「감염병예방법 시행규칙」 별지 제1호의5서식)

제출 항목

  • 환자 및 사망자 인적사항, 검사‧진단‧치료 정보,치료 결과 보고
  • 신고・보고자 정보 등

법적 근거

(신고) 「결핵예방법」 제8조(의료기관 등의 신고의무)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조(결핵환자등의 신고 및 치료결과 보고), 「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제11조(의사 등의 신고), 제12조(그 밖의 신고의무자)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6조(의사 등의 감염병 발생신고), 제8조(그 밖의 신고대상 감염병), 제9조(그 밖의 신고의무자의 신고)

(보고) 「감염병예방법」 제13조(보건소장 등의 보고)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0조(보건소장 등의 보고)

  1. ※ 신고의무 불이행시 벌금 부과

신고의무와 관련 다음의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5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

  • 「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 제11조, 「결핵예방법」 제8조제1항부터 제3항에 따른 보고 또는 신고 의무를 위반하거나 거짓으로 보고 또는 신고한 경우
  • 신고의무자의 보고 또는 신고를 방해한 경우
  1. * (법적근거) 「감염병예방법」 제79조의4(벌칙), 「결핵예방법」 제33조(벌칙)제1호

신고의무와 관련 다음의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200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

  • 「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 제12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게을리한 자
  • 세대주, 관리인 등으로 하여금 감염병 신고를 하지 아니하도록 한 경우
  1. * (법적근거) 「감염병예방법」 제81조 제3호,제4호(벌칙)